트럼프와 통화도 못한 한국, 미 대외정책 순위서 점점 ‘뒷걸음’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25-02-13 11:31 조회110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일본이 최근 미국과 정상회담을 개최하며 대미 외교에 발 빠르게 나서고 있지만 한국은 미국과의 고위급 대면 접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조태열 외교부 장관(왼쪽 사진)의 방미는 무산됐고, 한·미 정상 간 통화도 성사되지 않은 상태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대외 정책에서 한국이 뒷순위로 밀리고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10일 외교부에 따르면 조 장관은 오는 14~16일(현지시간) 독일에서 열리는 뮌헨안보회의(MSC)에 참석한다. MSC는 세계 최대 규모의 연례 국제안보포럼이다. 회의에는 J D 밴스 미국 부통령이 참석하는데, 마크 루비오 국무부 장관(오른쪽)도 동행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조 장관과 루비오 장관의 양자회담이 이뤄질 가능성이 크다. 외교부 당국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한·미는 MSC를 계기로 외교장관회담을 개최하는 방안을 조율하고 있다”고 말했다.
조 장관과 루비오 장관이 만난다면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한·미 간 첫 고위급 대면 접촉이 된다. 두 장관은 회담에서 한·미 동맹의 중요성을 재확인하고 주요 현안 등을 논의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북한의 핵·미사일 문제에 공동 대응하면서 ‘북한 비핵화’가 공동의 목표라는 기본 원칙을 언급할 가능성이 있다. MSC를 계기로 한·미·일 3국 외교장관회담이 개최될 수도 있다. 앞서 7일 트럼프 대통령과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는 회담을 열고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에 대한 단호한 의지를 재확인했다”며 “한·미·일 등 다층적 협력을 강화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다자회의참석을 계기로 여는 양자회담은 별도의 단독 양자회담보다 논의의 깊이가 떨어질 수밖에 없다. 민감한 안보 및 무역 등 분야를 주제로 심도 있는 얘기를 나누기는 한계가 있다. 애초 조 장관은 이번주 중 미국을 방문해 루비오 장관과 회담하는 방안을 추진했지만, 루비오 장관의 대내외 일정 등을 이유로 성사되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조 장관은 지난달 23일 루비오 장관과의 통화에서 미국 방문을 초청받았다. 양측은 이른 시기에 회담을 개최할 수 있도록 일정을 조율키로 했지만 무산된 것이다. 루비오 장관은 20~21일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개최하는 주요 20개국(G20) 외교장관회의에도 불참한다고 5일 밝혔다. 조 장관과 루비오 장관이 이달 내에 만날 기회는 MSC가 유일할 수 있는 것이다.
-
이하 전문 링크 참고
출처: 경향신문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